족보와 촌수, 호칭
1. 말 예절의 기본
1) 공경(恭敬)과 겸양(謙讓)의 말
. 댁-집 / 춘부장 - 가친 / 백씨-맏형 / 부인 -집사람. 내자 / 정씨 -정가
성함 -이름 등
2) 상하(上下)와 항렬(行列)의 순서
. 하시이소 - 하시오 - 하오 - 하게 - 해라. 조항 - 숙항 - 동항 - 질항
2. 잘못 쓰이는 말 중 좋지 않는 말
1) 아빠, 아저씨, 오빠 : 남편을 아빠, 오빠, 우리 아저씨라고 부르거나 남에게 말하는 것은 인륜 도덕에 어긋나는 패륜어(悖倫語)이다. 바깥주인, 아기 아버지라고도 함.
2) 남편을 남에게 ‘우리 OO씨’라고 말하는 것은 자기 자신을 높이는 말이다.
3) 아내에게 ‘해라'말을 쓰는 것은 일본의 잔재로서 아주 좋지 않은 말이다. 조선시대에도 아내에게 해라말을 쓰지 않았다.
4) 자기보다 나이 많은 사람에게 남편을 ‘가시고. 오시고. ’하는 것은 자신을 높이는 말과 같다.
5) 아버지의 동생은 ‘작은 아버지’, ‘숙부님’ 결혼전에는 ‘아제’ 라고 부른다. ‘삼촌’ 이란 말은 옛날 자신의 서 할머니가 낳은 자식을 홀대하여 부르던 말이다. 특히 자신의 시동생이나 시누이를 ‘삼촌’ 이나 ‘고모’ 라고 부르는 것은 아주 잘못된 말이다. ‘아주버님’이나 ‘OO서방댁’이라 부르고, 결혼 전에는 ‘도련님’이나 ‘애기씨’로 부른다. ‘삼촌’이나 ‘고모’는 부르는 호칭어가 아니고 자기와의 관계를 말하는 지칭어이다.
6) 조카, 질녀, 조카딸이라는 말이 있는데, ‘조카’는 형님이나 동생의 아들이며 ‘질녀’는 형님이나 동생의 딸이다. 그런데 사람들은 남녀를 구별하지 못하고 모두 ‘조카’라고 말하는데 잘못되었다. 그리고 ‘조카딸’이라는 말은 조카의 딸이면 자신에게 종손녀이다.
조카의 안사람을 ‘조카며느리.’라고 부르는 것은 잘못되었다. 조카며느리는 자신의 종손부 가 된다. 조카의 안사람은 ‘질부’라고 불러야 한다. 질녀의 남편을 ‘조카사위’라는 것도 잘못된 말이다. ‘조카사위’는 조카의 사위다. 질녀의 남편은 ‘질서’라고 불러야 한다.
7) 누님의 남편은 자형(姉兄)이고 부를 때는 ‘새 형님’이라 한다. 여동생의 남편은 매부(妹夫)이고 부를 때는 ‘OO서방’이라 한다. 흔히 TV연속극에서 보면 자형을 ‘매형(妹兄)’이라 불러서 말이 영 안 되는 경우가 있다. (자형의 자는 맏누이 ‘자’이고, 매부의 매자는 아랫누이 ‘매’ 자 이다.)
8) 혼인을 한 두 집안의 부모끼리는 ‘사돈(査頓)’이라 하고 자기보다 나이가 많아도 ‘사돈’이라 한다. 그리고 사돈보다 위의 항렬은 ‘사장(査丈)’이며 부를 때는 ‘사장어른’이라 하고, 사돈보다 아래 항렬은 사하생(査下生)이라 한다.
9) 아들의 아들은 ‘손자(孫子)’이지 ‘손주’가 아니다. 아들의 딸은 ‘손녀(孫女)이지 ’손주딸‘이 아 니다.
10) 처제, 처질녀는 비록 나이가 어리더라도 시집을 가면 남의 부인이 되기 때문에, 말을 낮추면 안 된다.
11) 친구의 아버지나 나이 많은 분을 보고 ‘아버지’ ‘아버님’이라 부르는 것은 망발이다. ‘아버지’ 는 자기 어머니와 결혼한 사람만 아버지인 것이다. 남의 아버지나 나이 많은 분은 ‘어른’ ‘어르신’ ‘어르신네’라고 부른다. 자신의 부모를 남에게 말할 때 ‘저의 아버님’이나 ‘저의 어머님’ ‘저의 춘부장’이라 말하는 것은 잘못이다. ‘저의 아버지’ 또는 ‘가친’ ‘어머니’ ‘모친’ 이라 말한다. 시아버지를 호칭할 때는 ‘아버님’이라 하고, 지칭(남에게 말할 때)은 ‘밭시어른’ ‘안 시어른’이라 말한다.
장인에게 ‘아버님, 어머님’이라 부르는 경우는 데릴사위로 갔을 때이다.
12) 남의 집 아가씨에 대한 해라말은 잘못이다. 남의 집 처녀에게는 말을 낮추는 것은 예절에 어긋난다.
13) 동서는 자매의 남편끼리, 형제들의 아내끼리 일컫는 말이다. 남자 동서끼리의 호칭은 ‘OO서 방’이라 하고, 여자 동서끼리는 남편의 서열에 따라 ‘형님’, ‘새댁’이라 호칭하며 남편의 서열에 따라 말을 높이고 낮춘다.
14) 처남댁은 아주머니라 부르지 않고 ‘처남댁’이라 부른다.
3. 호칭 ㆍ지칭들
1) 가친 : 남에게 자기 아버지를 겸손하게 일컫는 말. 엄친(嚴親), 엄부(嚴父)라고도 함.
2) 곁사돈 : 친사돈과 방계 사돈. 친사돈의 형제들. 겹사돈이란 말은 잘못임. 겹사돈은 이중, 삼중으로 사돈이 될 때 하는 말이다.
3) 계씨(季氏) :남의 아우를 공경해서 일컫는 말.
4) 고모부(姑母夫) : 고모의 남편. 새아저씨라 호칭함. 고모아제, 고모아버지는 잘못됨.
5) 귀문(貴門) : 남의 문중을 공경하여 이르는 말.
6) 내권(內眷) :안식구. 남에게 자신의 아내를 겸손하게 일컫는 말.
7) 당숙(堂叔). 당숙모(堂叔母) : 종숙, 종숙모를 친근하게 일컫는 말로서 아버지의 사촌이다.
8) 대고모 (大姑母) : 할아버지의 자매로서 왕고모, 존고모라하고 그의 남편을 존고모부라한다.
9) 대부인(大夫人) : 남의 어머니를 공경해서 일컫는 말이다.
10) 댁(宅) : 남의 집이나 가정을 높여서 부르는 말이다. 김씨 댁, 이씨 댁, 안동 댁, 영천 댁 등
11) 질부(姪婦) :조카의 아내. 조카며느리는 잘못됨.
12) 질서(姪壻) : 질녀의 남편. 조캐사위는 잘못된 말.
13) 집사람 : 자기 아내를 남에게 일컫는 말.
14) 처백모(妻伯母), 처백부(妻伯父): 아내의 백모. 백부를 일컫는 말.
15) 처조모(妻祖母), 처조부(妻祖父) : 아내의 친정 할머니, 할아버지. 장조모, 장조부라고도 한다.
16) 춘부장(春府丈) : 살아계시는 남의 아버지를 높여서 부르는 말.
17) 함씨(咸氏) : 남의 조카를 높여서 일컫는 말.
18) 함자(銜字) :남의 이름을 높여서 부르는 말.
19) 휘자(諱字) :돌아가신 분의 이름.
20) 며느님 : 남의 며느리를 높여서 일컫는 말. 자부라고도 함.
21) 매씨(妹氏) :남의 누이동생을 공경해서 일컫는 말.
22) 밭 노친, 안 노친 : 여자가 친정아버지를 일컫는 말. 밭 어버이, 안 어버이라고도 함.
23) 밭 시어른, 안 시어른 : 남에게 시아버지, 시어머니를 일컫는 말.
24) 부군(夫君) : 남의 남편을 높여서 일컫는 말.
25) 빙모(聘母) : 남의 장모를 말할 때 ‘자네 빙모님.’이라 한다.
26) 빙장(聘丈) : 장인의 높임말.
27) 사돈댁(査頓宅) : 안사돈의 높임말. 사부인. 사돈의 집을 높여서 일컫는 말.
28) 삼종(三從) : 8촌 형제, 재종숙의 아들 딸. 고조부가 같음. (할아버지의 할아버지가 같음).
29) 삼종숙(三從叔) : 아버지의 8촌 형제. 9촌 아저씨.
30) 새댁 : 젊은 부인을 공경해서 이르거나, 윗동서가 아랫동서를 부를 때 사용하는 말.
31) 새아저씨 : 형부나 고모부를 부를 때 쓰임.
32) 새형 : 손위 누이의 남편을 부를 때 사용하는 말.
33) 생질(甥姪), 생질녀(甥姪女) : 누이의 아들, 딸.
34) 생질부(甥姪婦), 생질서(甥姪壻): 생질의 아내, 생질녀의 남편을 일컫는 말.
35) 서:군(壻君), 서:랑(壻郞) : 남의 사위를 높여서 일컫는 말.
36) -서방 : 처가에서 장가 든 남자를 일컬를 때나, 자기 남편을 친정 사람에게 일컬을 때 사용 하는 말.
37) -서방댁 : 시집간 아랫 시누이를 호칭할 때, 남편의 성을 붙여 김 서방댁, 이 서방댁이라 호칭.
38) 선고(先考) :돌아가신 자기 아버지를 일컬를 때. 선친이라고도 함.
39) 선대 : 인(先大人) 선대 : 부인(先大夫人) : 남의 죽은 아버지, 어머니를 높여 부르는 말.
40) 선친(先親) 선비(先妃) : 돌아가신 자기 아버지, 어머니를 일컫는 말.
41) 손녀(孫女) : 아들의 딸. 손주딸은 잘못임.
42) 손부(孫婦) : 손자의 아내. 아들의 며느리. 손주며느리는 잘못임.
43) 손서(孫壻) : 손녀의 남편. 아들의 사위. 손주사위는 잘못임.
44) 수숙(嫂叔) : 시동생과 형수, 시숙과 제수 사이를 말함. 수숙간이다.
45) 시가(媤家) :시집을 말함. 시댁은 높임 말. 우리 시댁은 잘못임. 남의 시집을 시댁이라 함.
우리 시집이라 함.
46) 시외가 (媤外家) : 남편의 외가.
47) -실(室) : 시집간 딸이나 여동생을 호칭할 때 그 남편의 성을 따서 김실, 이실이라 부름.
48) 아비(애비) : 아버지의 낮춤말. 지아비의 준말로 시가 어른 앞에서 남편을 이르는 말.
49) 아주버니 : 남편과 같은 항렬의 남자.
50) 아주버님 : 아주버니의 높임말. 시숙, 시동생, 손윗 시매부를 부를 때 사는 곳을 붙여서 사용하는 말.
51) 안사람 : 자기 아내를 남에게 일컫는 말. 안식구라고도 함.
52) 안어버이, 안 어른 : 자기 어머니를 일컫는 말.
53) 어르신 : 나이 많은 사람에 대한 호칭.
54) 어이딸 : 어머니와 딸. 모녀간.
55) 영애(令愛) : 남의 딸을 높여서 부르는 말. 따님이라고도 함.
56) 오라범댁 : 오빠의 아내. 오라버니댁이라고도 함.
57) 옹서간 : 장인과 사위
58) 완:장(阮丈) : 남의 숙부를 높여서 일컫는 말.
59) 왕존장(王尊丈) : 남의 조부를 공경해서 일컫는 말.
60) 외:손서(外孫壻) : 외손녀의 남편.
61) 이질(姨姪) : 자기 자매의 아들, 처이질 : 아내의 자매 아들.
62) 자당(慈堂) :상대방의 어머니를 높여서 부르는 말. 어머님, 북당(北堂), 영당(令堂), 훤당(萱堂).
63) 자부(子婦) :남의 며느리를 일컬을 때, 우리 자부라고 하지 않음. 우리 며느리나 새사람이라 함.
64) 자씨(姉氏) : 남의 누님을 공경해서 하는 말.
65) 자형(姉兄) :누님의 남편을 일컬을 때 쓰는 말. 부를 때는 새형님이라함. 매형은 잘못. 여동 생의 남편은 매부임.
66) 재:종(再從): 6촌 형제 자매. 증조부가 같음. 할아버지의 아버지가 같음.
67) 재:종숙(再從叔) : 7촌 아저씨. 아버지의 6촌. 재당숙(再堂叔)
68) 재:종조부(再從祖父) : 할아버지의 종형제(4촌). 그의 아내는 재종조모.
69) 재:종질(再從姪) : 6촌 형제의 아들. 재종질녀는 딸.
70) 제:부(第夫) : 여자가 여동생의 남편을 일컬을 때.
71) 존고모(尊姑母): 할아버지의 여동생이나 누님. 대고모. 왕고모. 고모 할머니는 잘못. 사는 곳을 따서 'oo 할머니’ 라 부름.
72) 존이모(尊姨母) : 할머니의 여형제. 이모할머니는 잘못. 사는 곳을 따서 ‘oo 할머니’ 라 부름.
73) 존함(尊啣) : 남의 이름을 높여서 일컫는 말. 존명이라고도 함.
74) 종:손자(從孫子), 종:손녀(從孫女) : 형이나 동생의 손자, 손녀를 일컬음.
75) 종:숙부(從叔父), 종:숙모(從叔母) 5촌 숙부, 숙모. 당숙모, 당숙부. 아버지의 사촌이나 형수, 제수를 말함.
76) 종:조모(從祖母), 종:조부(從祖父) :할아버지의 사촌형이나 동생의 아내,
77) 종:질, 종:질녀 : 사촌의 아들이나 딸.
78) 증손자. 증손녀 : 손자의 아들, 딸.
79) 증조모(曾祖母) : 아버지의 할머니.
80) 진외가 (陳外家) : 아버지의 외가. 할아버지의 처가.
81) 외외가 (外外家) : 어머니의 외가.
제공 : 혼서지 대필, 명심서예원
|
|
|